목록낙서장 (297)
이쁜왕자 만쉐~~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는 못해도 10가지는 된다. 하지만, 운동을 하기 싫은 이유는 100가지는 족히 되는 듯 싶다. 귀찮다. 힘들다. 피곤하다. 어지럽다. 짜증난다. 답답하다. 덥다. 머리가 아프다. 허리가 아프다. 발이 아프다. 운동화가 낡았다. 운동복이 불편하다. ...

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의 영어 정식 표기는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식적인 번역 명칭은 '아메리카 합중국' 또는 '미합중국' 이다. 문제는 이렇게 긴 이름은 불편하기 짝이 없다. 정말 공식적인 국가 문서에서나 쓰인다. 길면 불편하니깐 줄여 쓴다. 한국어에서도 이를 단 두글자로 줄여서 '미국'이라고 표기한다. 그래서, 영어 표기도 약칭이 많다. 2. U.S.A. / USA 가장 널리 쓰이는 표현은 3글자로 축약한 USA 이다. 미국내에 공식적인 문서에서도 널리 쓰인다. 'ISO 3166' 표준에서도 3글자 축약어로 USA 를 사용한다. 미국 연방 정부의 공식 홈페이지도 https://www.usa.gov/ 이다. ..

정수 = filtered water 유리수 = glass water 무리수 = group water 자연수 = natural water 실수 = yarn water 사원수 = temple water 분수 = minute water 소수 = bovine water (= cow water) 불새옹의 뻘글 퍼옴

누군가가 나에게 '당신의 종교는 무엇인가?' 라고 묻는다면, 60%의 무교 10%의 불교 10%의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교 10%의 지름교 10%의 제다이교 라고 답해야 겠다.

이번에 공시지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많은 사람이 불만이 생겼을 듯 싶다. 공시지가가 오르면 보유세를 비롯해서 세금이 오르기 떄문에 당연한 것일 것이다. 그런데, 올리다 보니 실거래가 보다 공시지가가 높은 경우도 발생한 듯 싶다. 그리고, 한경에서 기회는 이때다 싶은지 아래 같은 뉴스를 내보냈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1040505341 "12억에 팔린 서초 아파트, 공시가는 15억"…집주인들 '분노' "12억에 팔린 서초 아파트, 공시가는 15억"…집주인들 '분노', 서초구·제주도, 공시가 직접 검증 같은 아파트 같은 면적이어도 상승률 13~29%로 제각각 임대가 분양단지보다 비싸기도 제주에선 펜 www.hankyung.com 그래서 한경에서..

개성공단은 2000년부터 실무협약이 진행되었고, 2003년 착공을 시작하고 2005년 부터 업체들이 입주하여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대략 10여년이 지난 2016년 폐쇄되었죠. 탈북자 유투버등을 통해서 개성공단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지만, 뭐니뭐니해도 그중 가장 관심이 가는건 '초코파이'에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2000년에 상영된 '공동경비구역 JSA'에 초코파이가 등장하기도 하는데, 실제로 북한에는 개성공단이 생기기 전에도 중국을 통해서 초코파이가 밀수되어 소량이나마 유통되었다고 하네요. 대북 전단을 통해서도 약간이나마 넘어간 것도 존재할 것이고요. 하지만, 그 양이 많았을 리는 없습니다. 초코파이가 북한에 본격적으로 알려진 건 개성공단 때문이라고 합니다. www.youtube.com/..

트위치 유투브와 경쟁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중에 '트위치'가 있다. 그리고, 트위치의 공식 홈페이지 주소는 https://www.twitch.tv/ 이다. 흔하디 흔한 .com 이나 .net 이 아닌 .tv 라는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다. 트위치가 방송 플래폼임을 생각하면 텔레비전을 연상하게 하는 tv 는 참 어울리는 도메인이다. 그런데 .tv 라는 도메인은 무엇일까? 이는 '투발루(Tuvalu)'라는 태평양의 조그마한 섬나라의 국가 도메인이다. 한국이 .kr 이라는 국가도메인을 사용하듯 전세계 국가에는 두글자로 된 국가도메인이 할당되어 있다. 그중에는 투발루처럼 특별한 뜻을 가지는 나라도 있기 마련이다. 이루다 시작하자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아 서비스가 중단된 '이루다'라는 이름의 인공지능 챗봇 서..

전통적인 문신은 바늘로 피부에 구멍을 내고 그곳에 잉크를 집어 넣는 방법으로 만든다. 그리고, 이 문신은 조폭의 표본과도 같은 것이었다. 지금은 헤나를 이용한 방법도 있고, 아예 1회용 스티커로 된 것도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문신을 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노출이 심한 여름 또 하나의 매력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문신을 보면 오래전 어렸을 때 중학교 다닐 때가 생각난다. 예나 지금이나 공부하기 싫어하는 사춘기의 남학생들은 새로운 놀거리를 찾고 있었다. 그러다가 튀어나온 것이 바로 '문신'이었다. 그 시절에 헤나 문신 같은 게 있을 리가 없었고, 그렇다고 정말 바늘로 찔러 그리는 진짜 문신을 했을리도 없다. 아이들에게 유행한 건 그저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으로 그리는 문신 놀이였을 뿐이다. 차카게..

한국의 디자이너 '최종훈' 씨가 Pimoji 라는 이름으로 만든 알약 디자인이다. Pills (알약) + Emoji (이모지) 의 합성어로 알약을 그 약이 실제 효과가 있는 신체 장기 형태로 만들자는 의미이다. www.youtube.com/watch?v=cSgieSFqEqI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괜찮은 디자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제기한 사람도 당연히 등장했다. 알약은 쉽게 파손이 되어서도 안되고, 서로 얽혀서도 안되고, 목이나 식도, 위장에 걸려서도 안되고, 등등등 많은 제약이 있다는 것이다. 이 말 또한 틀린 말은 아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알약은 각진 모양은 전혀 없고 바둑알 형태이거나, 길쭉한 원통형이다. 그런데, 내 기억으로 게보린은 삼각형이었고, 비아그라는 마름모 꼴이다. 그외..
www.cpu-monkey.com/en/compare_cpu-intel_celeron_n4100-842-vs-intel_celeron_n4120-1079 Intel Celeron N4100 vs. Intel Celeron N4120 - Benchmark and Specs www.cpu-monkey.com 모델명에서 알수 있듯이 Intel Celeron N4120 은 N4100 을 기반으로 살짝 업그레이드 한 모델이다. 이게 2019년에 출시되었다는 이유로 '인텔 최신 CPU'라고 우기는 모 업체도 있긴 하지만, 카비레이크R 은 2017년에 출시된 8세대이다. 게다가 카비레이크R 은 카비레이크의 저전력 모델이라 성능만 따지면 7세대 만도 못하다. 좀더 엄밀하게 구분하면, 이 둘은 '골드몬트 플러스 (제미니..